TiL89 [2024.10] 2주차 Today I Learned 10/07 월1. 개인연구 Pose Estimation - 데이터 생성(FLUX.1-dev 모델 활용)- CivitAI에 공개된 오픈 Safetensors를 같이 활용하고 있는데 모델의 크기가 크다보니 생각보다 Inference 시간이 오래 걸림2. HRFormer 논문 리딩- HRNet 구조에 Transformer 기법을 적용한 HRFormer 논문 리딩- 추후 논문 정리 예정 10/08 화1. 개인연구 Pose Estimation- 교수님 미팅 후 논문 작성 준비- 데이터 처리2. GITEX 2024 준비- 박람회 준비 관련 미팅 10/09 수1. MMPose 환경 빌드- MMPose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빌드(버전 확인 및 시행 착오)- 직접 학습을 돌리는 데에 까지 성공2. 기계 학습 강의 수.. 2024. 10. 7. [2024.10] 1주차 Today I Learned 09/30 월1. YOLOv8 Classification - Streamlit 연동- 이전에 작성해봤던 YOLO-Streamlit 코드를 바탕으로 YOLO Classification Task를 적용해보았다. 기존 YOLO는 Object Detection이기에 관련 코드를 모두 Classification Task 기준으로 수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들어가는 Input과 output, 파라미터들의 수정 과정을 거쳤다.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았으며 확실히 연동성 측면에서 YOLO는 매우 좋은 사용성을 보이는 것 같다.2. 기계학습 강의- Bayes' Rule- Parametric Method3. 개인 Pose Estimation 연구- 데이터 라벨링 및 데이터 생성 관련하여 도와주시는 분들과 미팅을 진행 10/.. 2024. 9. 30. [2024.09] 4주차 Today I Learned 09/23 월1. 연구실 인턴 발표 평가- 발표를 들으면서 개인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High Frequency 사용)를 얻을 수 있었고 다른 분들의 열정과 실력에 다시 한번 의지를 다잡는 계기를 가짐2. 산학프로젝트 발표 준비- 하루 전에 갑자기 프로젝트 발표를 맞게 되어 발표 준비를 진행함 09/24 화1. 산학프로젝트 발표- DMC에서 산학프로젝트 제안서 발표를 진행. 발표 전 관련 연구에 대한 리서치 및 준비- 가상 피팅과 관련된 제안서였고 개인적으로는 좋은 주제라고 생각함. 그러나 상업성에 있어서는 고려를 진지하게 해봐야 할 것 같음. 기술이 주는 재미에 비해 돈이 안될 수 있다는 것이 아쉬운 점. 09/25 수1. 회사 프로젝트 관련 전략 회의- GITEX 준비 및 프로젝트 마무리할 사안 정리.. 2024. 9. 24. [2024.09] 3주차 Today I Learned 09/16 월 ~ 09/18 수1. 추석 09/19 목1. 컴퓨터 비전 수업2. Pose Estimation 연구 관련 준비- 기존 모델에 Inference 후 결과 보기- 데이터 수집시 유의해야 할 점 정리- 생각보다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다.... 09/20 금1. 메타러닝 수업- Metric-based(혼자 공부하면서 찾아볼 내용이 많은 듯.. 주말에 진행해보도록 하자)2. Pose Estimation 연구 관련 준비- 교수님 미팅 및 데이터 관련 기준 설립- 적절한 비용 설정 +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할 것 같다. 09/21 토1. Pose Estimation 연구 관련 데이터 준비- 데이터 Annotation 툴 확인(exe 파일 확인 및 사용 방법 체크) 2024. 9. 16. [2024.09] 2주차 Today I Learned 09/09 월1. UAE-Korea 투자 및 비즈니스 설명회 참석- AI 관련 아이템을 가지고 UAE 국가에 진출하기 위한 내용을 들음- 확실히 영어를 잘 해야 할 필요성을 또 한번 더 느낌2. UDP(Unbiased Data Processing) 논문 리딩 09/10 화1. 회사 업무 및 개인 연구 준비2. 혼공컴운- 10-1장 프로세스개요 09/11 수1. 기계학습 강의강의를 듣던 중 의문을 가진 명제가 있었다. "확률 밀도 함수에서 p(x)는 0보다 같거나 커야하지만 1보다 작거나 같을 필요는 없다". 확률 밀도 함수에서는 p(x)의 적분이 1이 되는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아래 링크에 나와 같은 의문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https://www.reddit.com/r/learnmachinelea.. 2024. 9. 9. [2024.09] 1주차 Today I Learned 09/02 월1. DeepPose 논문 정리- 논문 리뷰 발행2. Stacked Hourglass 논문 리딩 09/03 화1. Stacked Hourglass 논문 정리- 논문 리뷰 발행2. CPN 논문 리딩 09/04 수1. CPN 논문 정리- 논문 리뷰 발행2. Simple Baseline 논문 리딩3. 혼공컴운-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09/05 목1. Simple Baseline 논문 정리- 논문 리뷰 발행2. HRNet for Human Pose Estimation 논문 리딩 09/06 금1. HRNet for Human Pose Estimation 논문 정리- 논문 리뷰 발행2. 메타러닝 수업 09/07 토1. 혼공컴운- 9장 운영체제 시작하기 정리 및 발행2. HigherHRNet 논문.. 2024. 9. 2.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