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SE ESTIMATION11

[MMPose] MMPose 환경 세팅하기 Pose Estimation 모델을 사용하려고 검색을 하다보면 우리는 일반적으로 MMPose 라이브러리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나의 경우에도 학부때부터 지금까지 여러번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왔지만, 아직 제대로 환경 설정이나 모델 학습, 추론에 있어 정리한 적이 없는 것 같아, 이번 기회에 한번에 쭉 정리해두려 한다. MMPose의 경우 일반적인 다른 MM 라이브러리들처럼 버전과 그에 따른 패키지 버전의 호환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번에 내가 사용한 버전과 날짜를 명시하여 추후에 이 글을 확인하는 사람들이 다른 버전을 실행하려 할 때에 오류가 없도록 작성하려 한다.  마지막 확인 날짜: 2024/11/19사용한 MMPose 버전: 1.3.2https://github.com/open-mmlab/mmpose .. 2024. 11. 19.
[Paper Review] HRFormer 논문 이해하기 『 HRFormer: High-Resolution Transformer for Dense Prediction. NeurIPS. 2021.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HRNet 구조에 Transformer 기법을 적용한 HRFormer 논문이다. HRNet이 등장한 이후 전체 네트워크 동안 고해상도를 유지하는 것이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ViT 모델이 등장하며 한단계 더 발전한 기법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2가지 성공적인 기법을 잘 믹스하여 Pose Estimation, Semantic Segmentation Task에서 특히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Image Classification, Pose Estimation, Semantic Seg.. 2024. 10. 8.
[Paper Review] Unbiased Data Processing for Human Pose Estimation 논문 이해하기 『 The Devil is in the Details: Delving into Unbiased Data Processing for Human Pose Estimation. CVPR. 2020. 』지금까지는 주로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여러 기법들을 결합한 Pose Estimation 모델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모델들은 대부분 Object Detection이나 Segmentation과 같이 다른 Computer Vision Task에서 좋은 성능을 냈던 기법들을 가져와 Pose Estimation Task에 녹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번에 소개할 논문에서는 Human Pose Estimation에서 성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먼저 고민하였다.   Devil is in the Details 라는 .. 2024. 9. 12.
[Paper Review] HigherHRNet 논문 이해하기 『 HigherHRNet: Scale-Aware Representation Learning for Bottom-Up Human Pose Estimation. CVPR. 2020. 』HRNet이 Top-Down 모델에서 굉장히 좋은 성능을 냈다고 하면, 이번에는 HRNet의 기법을 Bottom-Up 기반의 모델에 적용시킨 HigherHRNet이 등장하였다. Bottom-Up 모델은 아무래도 시간이 빠른 대신 관절의 위치를 정확히 잡는 정확도가 문제가 되었는데 High-Representation을 사용하여 그 점을 충분히 완화한 점을 보여준 논문이다. Githubhttps://github.com/HRNet/HigherHRNet-Human-Pose-Estimation GitHub - HRNet/HigherHR.. 2024. 9. 8.
[Paper Review] HRNet for Human Pose Estimation 논문 이해하기 『 Deep High-Resolution Representation Learning for Human Pose Estimation. CVPR. 2019. 』나는 HRNet 논문을 읽었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블로그 리뷰도 올린적이 있었고 코드 사용하는데에도 문제가 없었으니까. 그런데 얼레 이후 논문들을 보다가 인용된 Reference를 보다보니 이상한점이 좀 있었다. 논문 이름이 다르네....? 그렇다 나는 멍청했던 것이다. 내가 사용한 Pose Estimation Task 속에서의 HRNet은 이 논문에서 시작된 것이라는 걸... 그래서 Pose Estimation 분야를 정복하기 위해 이논문을 제대로 읽고 이전에 리뷰했던 내용도 재검토 해보기로 마음을 먹었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제는 논.. 2024. 9. 6.
[Paper Review] Simple Baselines 논문 이해하기 『 Simple Baselines for Human Pose Estimation and Tracking. ECCV. 2018. 』이번 논문은 2018년 ECCV에 Accept된 Simple Baselines 논문이다. 후속 Pose 논문들을 보다 많은 논문들이 이 논문을 Reference하고 있어 관심이 갔다. Tracking보다는 Pose Estimation 자체에 관심이 많아 해당 분야 쪽으로 서술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Githubhttps://github.com/Microsoft/human-pose-estimation.pytorch GitHub - microsoft/human-pose-estimation.pytorch: The project is an official implement of our .. 2024. 9. 5.